그래머 인사이드 1, 쉽고 빠른 마스터 비법
목차
- 그래머 인사이드 1, 왜 특별할까요?: 교재의 특징과 학습 효과
- 단원별 핵심 공략:
- 2-1. 문장의 기본 구조: 주어, 동사, 보어, 목적어 완벽 이해
- 2-2. 문장의 확장: 수식어구(형용사, 부사)를 활용한 풍부한 표현
- 3-1. 명사와 관사: 셀 수 있는 명사, 셀 수 없는 명사, 다양한 관사의 쓰임
- 3-2. 대명사: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비인칭대명사의 정확한 용법
- 4-1. 동사의 종류와 형태: be동사, 일반동사, 조동사의 특징과 활용
- 4-2. 시제 1: 현재, 과거, 미래 시제의 개념과 다양한 형태
- 5-1. 시제 2: 진행 시제와 완료 시제의 심층 이해
- 5-2. 시제 3: 완료진행 시제의 활용과 주의사항
- 6-1. 형용사: 명사 수식, 보어 역할, 다양한 형태의 형용사
- 6-2. 부사: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문장 전체 수식
- 7-1. 문장의 종류: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의 구조와 특징
- 7-2. 부정문: 다양한 동사의 부정문 형태와 주의할 점
- 8-1. 조동사: can, may, must, should 등 핵심 조동사의 의미와 용법
- 8-2. 조동사 + have p.p.: 과거 사실에 대한 다양한 표현
- 9-1. 수동태: 능동태 문장을 수동태로 전환하는 방법과 활용
- 9-2. 수동태 구문: 다양한 형태의 수동태 구문 익히기
- 10-1. to부정사: 명사적, 형용사적, 부사적 용법 완벽 분석
- 10-2. 동명사: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과 다양한 활용
- 11-1. 분사: 현재분사와 과거분사의 형태와 역할
- 11-2. 분사구문: 다양한 형태의 분사구문 이해와 활용
- 12-1. 접속사: and, but, or 등 병렬 구조 접속사
- 12-2. 종속 접속사: 시간, 이유, 조건, 양보 등을 나타내는 접속사
- 13-1. 관계대명사: 주격, 목적격,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역할과 쓰임
- 13-2. 관계부사: 시간, 장소, 이유, 방법을 나타내는 관계부사
- 14-1.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 가정
- 14-2.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 가정
-
- 문장 형식: 1형식부터 5형식까지 완벽 분석 및 활용
- 효율적인 학습 전략: 복습 방법, 문제 풀이 팁, 추가 학습 자료 활용법
본문
1. 그래머 인사이드 1, 왜 특별할까요?: 교재의 특징과 학습 효과
그래머 인사이드 1은 영문법 학습의 기초를 탄탄하게 다질 수 있도록 구성된 교재입니다. 단순히 문법 규칙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쉽고 명확한 설명과 풍부한 예시를 통해 학습자가 문법 개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특히, 중학교 수준의 필수 영문법 사항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어, 영어를 처음 시작하는 학습자나 기초가 부족한 학습자에게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 교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학습 내용을 세분화하여 단계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입니다. 각 단원은 하나의 핵심 문법 사항에 집중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다양한 연습 문제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점검하고 확실하게 이해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예문들을 통해 문법 규칙이 실제 영어 문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머 인사이드 1을 꾸준히 학습하면 다음과 같은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첫째, 영어 문장의 기본적인 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됩니다.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등 문장 구성 요소들의 역할을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복잡한 문장 구조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둘째, 다양한 문법 규칙을 체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영어 문법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더 이상 막연하게 영어가 어렵다고 느끼는 것이 아니라, 문법 지식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자신감 있게 영어 문장을 구사할 수 있게 됩니다. 셋째, 학교 영어 내신은 물론, 더 나아가 수능 영어의 기초를 튼튼하게 다질 수 있습니다. 중학교 영문법은 고등학교 영어 학습의 기반이 되므로, 그래머 인사이드 1을 통해 확실하게 기초를 다져두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2. 단원별 핵심 공략:
2-1. 문장의 기본 구조: 주어, 동사, 보어, 목적어 완벽 이해
영어 문장의 가장 기본적인 뼈대는 주어(Subject)와 동사(Verb)입니다. 주어는 문장의 행위자, 즉 누가 무엇을 하는지를 나타내고, 동사는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I eat lunch."라는 문장에서 "I"는 주어, "eat"은 동사입니다.
여기에 보어(Complement)나 목적어(Object)가 더해져 문장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보어는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격 보어는 주어의 상태나 특징을 설명하며, 목적격 보어는 목적어의 상태나 특징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She is a teacher."에서 "a teacher"는 주어 "She"를 설명하는 주격 보어입니다. "They made him happy."에서 "happy"는 목적어 "him"을 설명하는 목적격 보어입니다.
목적어는 동사의 행위 대상, 즉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대답입니다. 타동사는 반드시 목적어를 필요로 하며, 목적어의 유무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달라집니다. 직접 목적어는 동사의 행위를 직접 받는 대상이고, 간접 목적어는 직접 목적어에게 행위가 향하는 대상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He reads a book."에서 "a book"은 동사 "reads"의 직접 목적어입니다. "She gave me a gift."에서 "me"는 간접 목적어, "a gift"는 직접 목적어입니다.
2-2. 문장의 확장: 수식어구(형용사, 부사)를 활용한 풍부한 표현
기본적인 문장 구조에 형용사(Adjective)와 부사(Adverb)와 같은 수식어구를 더하면 더욱 구체적이고 풍부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형용사는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하여 그들의 특징이나 상태를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a beautiful flower"에서 "beautiful"은 명사 "flower"를 수식합니다. 형용사는 명사 앞에서 직접 수식하거나, be동사 뒤에서 주격 보어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부사는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또는 문장 전체를 수식하여 시간, 장소, 방법, 정도 등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He runs quickly."에서 "quickly"는 동사 "runs"를 수식하여 달리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She is very happy."에서 "very"는 형용사 "happy"를 수식하여 행복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부사는 문장 내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위치에 올 수 있습니다.
3-1. 명사와 관사: 셀 수 있는 명사, 셀 수 없는 명사, 다양한 관사의 쓰임
명사(Noun)는 사람, 사물, 장소, 개념 등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명사는 셀 수 있는 명사(Countable Noun)와 셀 수 없는 명사(Uncountable Noun)로 나뉩니다. 셀 수 있는 명사는 단수형과 복수형이 있으며, 복수형은 보통 명사 뒤에 -s나 -es를 붙여 만듭니다. 예를 들어, "book - books", "apple - apples" 등이 있습니다. 셀 수 없는 명사는 물질 명사(water, air), 추상 명사(happiness, knowledge), 고유 명사(Seoul, Korea) 등이 있으며, 복수형으로 사용하지 않고 항상 단수 취급합니다.
관사(Article)는 명사 앞에 붙어 명사를 한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부정관사(a/an)는 셀 수 있는 단수 명사 앞에 붙어 막연한 하나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a"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명사 앞에, "an"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명사 앞에 붙습니다. 정관사(the)는 특정한 명사나 이미 언급된 명사를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3-2. 대명사: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비인칭대명사의 정확한 용법
대명사(Pronoun)는 명사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인칭대명사(Personal Pronoun)는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며, 주격(I, you, he, she, it, we, they), 소유격(my, your, his, her, its, our, their), 목적격(me, you, him, her, it, us, them)으로 형태가 변합니다. 지시대명사(Demonstrative Pronoun)는 가까운 것이나 먼 것을 가리킬 때 사용되는 "this", "that", "these", "those" 등이 있습니다. 비인칭대명사(Impersonal Pronoun)는 특정한 대상을 가리키지 않고 날씨, 시간, 거리, 명암 등을 나타낼 때 사용되는 "it"이 대표적입니다. 예를 들어, "It is cold today."와 같이 사용됩니다.
4-1. 동사의 종류와 형태: be동사, 일반동사, 조동사의 특징과 활용
동사(Verb)는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동사는 크게 be동사, 일반동사, 조동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be동사는 주어의 인칭과 수, 시제에 따라 am, are, is, was, were 등으로 형태가 변하며, 주어의 상태나 존재를 나타냅니다. 일반동사는 be동사와 조동사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동사를 말하며, 주어의 동작이나 행위를 나타냅니다. 조동사(Auxiliary Verb)는 일반동사 앞에 쓰여 동사의 의미를 보충하거나 특정한 문법적인 기능을 수행합니다. can, may, must, should, will 등이 대표적인 조동사입니다. 조동사 뒤에는 항상 동사 원형이 와야 합니다.
4-2. 시제 1: 현재, 과거, 미래 시제의 개념과 다양한 형태
시제(Tense)는 동사의 형태를 변화시켜 동작이나 상태가 일어난 시간, 즉 현재, 과거, 미래 등을 나타내는 문법 범주입니다. 현재 시제(Present Tense)는 현재의 사실, 습관적인 행동, 불변의 진리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하며, 주어가 3인칭 단수일 경우 동사 원형에 -s나 -es를 붙입니다. 과거 시제(Past Tense)는 과거에 일어난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하며, 규칙 동사는 동사 원형에 -ed를 붙이고, 불규칙 동사는 정해진 변화 형태를 따릅니다. 미래 시제(Future Tense)는 미래에 일어날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하며, 주로 조동사 "will"이나 "be going to"와 함께 동사 원형을 사용합니다.
5-1. 시제 2: 진행 시제와 완료 시제의 심층 이해
진행 시제(Progressive Tense)는 동작이 진행 중임을 나타낼 때 사용하며, "be 동사 + -ing" 형태로 나타냅니다. 현재 진행 시제는 현재 진행 중인 동작을, 과거 진행 시제는 과거 특정 시점에 진행 중이었던 동작을 나타냅니다. 완료 시제(Perfect Tense)는 과거의 특정 시점부터 현재까지 계속되거나 완료된 동작, 또는 과거에 완료된 동작이 현재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나타낼 때 사용하며, "have/has/had + 과거분사" 형태로 나타냅니다. 현재 완료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경험, 완료, 결과, 계속을 나타내고, 과거 완료 시제는 과거의 특정 시점 이전에 완료된 동작을 나타냅니다.
5-2. 시제 3: 완료진행 시제의 활용과 주의사항
완료진행 시제(Perfect Progressive Tense)는 과거의 특정 시점부터 현재까지 계속 진행되고 있는 동작을 강조할 때 사용하며, "have/has/had been + -ing" 형태로 나타냅니다. 현재 완료 진행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 진행 중인 동작을, 과거 완료 진행 시제는 과거의 특정 시점 이전부터 그 시점까지 계속 진행 중이었던 동작을 나타냅니다. 완료진행 시제는 주로 동작의 지속성을 강조하며, 상태 동사는 진행형으로 잘 쓰이지 않으므로 완료진행 시제에도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6-1. 형용사: 명사 수식, 보어 역할, 다양한 형태의 형용사
형용사(Adjective)는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하여 그들의 성질, 상태, 수량 등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형용사는 명사 앞에서 직접 수식하는 역할을 하거나, be동사나 상태 동사 뒤에서 주격 보어 역할을 합니다. 또한, 목적격 보어로 쓰여 목적어의 상태를 설명하기도 합니다. 형용사는 일반적인 형태 외에도 -ing나 -ed로 끝나는 분사 형태, to부정사나 관계대명사절의 수식을 받는 형태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6-2. 부사: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문장 전체 수식
부사(Adverb)는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또는 문장 전체를 수식하여 시간, 장소, 방법, 정도, 이유 등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부사는 동사의 동작이 어떻게 일어나는지(quickly, slowly), 형용사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very, quite), 다른 부사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very quickly), 문장 전체에 대한 화자의 태도나 의견(fortunately, surprisingly) 등을 설명합니다. 부사는 문장 내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위치에 올 수 있지만, 강조하고 싶은 부분에 따라 위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7-1. 문장의 종류: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의 구조와 특징
문장(Sentence)은 그 기능에 따라 평서문(Declarative Sentence), 의문문(Interrogative Sentence), 명령문(Imperative Sentence), 감탄문(Exclamatory Sentence)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평서문은 사실이나 생각을 진술하는 문장으로, 주어 + 동사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의문문은 질문을 하는 문장으로, be동사나 조동사가 문장 맨 앞으로 나오거나 의문사(who, what, where, when, why, how)로 시작합니다. 명령문은 상대방에게 명령이나 요청을 하는 문장으로, 동사 원형으로 시작하며 주어 "you"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탄문은 놀람, 기쁨, 슬픔 등의 감정을 강하게 표현하는 문장으로, "What a(n) + 형용사 + 명사!" 또는 "How + 형용사/부사 + 주어 + 동사!"의 형태를 가집니다.
7-2. 부정문: 다양한 동사의 부정문 형태와 주의할 점
부정문(Negative Sentence)은 어떤 사실이나 행동을 부정하는 문장입니다. be동사의 부정문은 be동사 뒤에 "not"을 붙여 만들고, 일반동사의 부정문은 주어와 동사 사이에 "do/does/did + not + 동사 원형"을 사용하여 만듭니다. 조동사가 있는 문장의 부정문은 조동사 뒤에 "not"을 붙입니다. 부정 축약형(don't, doesn't, didn't, isn't, aren't, wasn't, weren't 등)을 사용하면 더욱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중 부정은 긍정의 의미를 나타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8-1. 조동사: can, may, must, should 등 핵심 조동사의 의미와 용법
조동사(Auxiliary Verb)는 동사 앞에 쓰여 가능성, 허가, 의무, 충고, 미래 등 다양한 의미를 더해주는 단어입니다. "can"은 능력이나 가능성, 허가를 나타내고, "may"는 허가나 불확실한 추측을 나타냅니다. "must"는 강한 의무나 필연성을, "should"는 약한 의무나 충고를 나타냅니다. "will"은 미래 시제를 나타내거나 의지를 표현하고, "would"는 과거의 습관이나 가정, 정중한 요청 등을 나타냅니다. 조동사 뒤에는 항상 동사 원형이 와야 하며, 조동사는 두 개 이상 연달아 사용할 수 없습니다.
8-2. 조동사 + have p.p.: 과거 사실에 대한 다양한 표현
"조동사 + have + 과거분사" 형태는 과거 사실에 대한 추측, 후회, 의무 불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스타그램 스토리 리그램, 1분 만에 끝내는 초간단 방법 (0) | 2025.05.08 |
---|---|
비타그램 갈바닉 마사지기: 쉽고 빠른 피부 관리의 혁신 (0) | 2025.05.08 |
LG 그램 14, 쉽고 빠른 사용법 마스터하기 (0) | 2025.05.07 |
인스타그램 PC에서 쉽고 빠르게 이용하는 방법 (0) | 2025.05.06 |
LG 그램 2024 15인치, 쉽고 빠른 사용법 마스터하기 (0)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