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영어만 나오는 키보드, 1분 만에 한글 되찾는 초간단 해결법!

by 217sdjfjkasf 2025. 10. 1.
영어만 나오는 키보드, 1분 만에 한글 되찾는 초간단 해결법!
배너2 당겨주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영어만 나오는 키보드, 1분 만에 한글 되찾는 초간단 해결법!

 

목차

  1. 서론: 왜 갑자기 키보드에서 한글이 안 나올까?
  2. 키보드 입력 오류의 가장 흔한 원인과 진단
  3. 가장 빠르고 쉬운 해결책: Alt + Shift 또는 Shift + Space
    • 3.1. Alt + Shift 조합키 사용하기
    • 3.2. Shift + Space 조합키 사용하기
  4. 확실하게 해결하는 근본적인 방법: 입력기 설정 확인 및 변경
    • 4.1. 윈도우 10/11의 언어 설정 접근 방법
    • 4.2. 입력기(IME) 추가 및 제거
    • 4.3. 기본 입력 언어 확인 및 변경
  5. 맥(Mac) 사용자라면? 키보드 입력 소스 확인
    • 5.1. 시스템 설정에서 키보드 설정 찾기
    • 5.2. 입력 소스(Input Sources) 변경 및 추가
  6. 마무리: 입력 오류 예방을 위한 작은 습관

서론: 왜 갑자기 키보드에서 한글이 안 나올까?

컴퓨터로 중요한 작업을 하거나 친구와 대화를 나누던 중, 키보드에서 한글이 입력되지 않고 영어만 나오는 황당한 상황을 한 번쯤 겪어보셨을 겁니다. 분명히 한/영 키를 눌렀는데도 'ㅏ'를 눌러도 'q', 'ㄴ'을 눌러도 's'만 입력될 때의 답답함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이 현상은 키보드 자체가 고장 난 것이 아니라, 대부분 '입력기(Input Method Editor, IME)' 설정이 꼬였거나 실수로 특정 단축키를 눌러 입력 언어가 영어로만 고정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이 게시물에서는 키보드가 영어만 나올 때 당황하지 않고, 누구나 쉽고 빠르게 한글을 되찾을 수 있는 초간단 해결 방법부터 근본적인 설정 변경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키보드 입력 오류의 가장 흔한 원인과 진단

키보드에서 한글이 아닌 영어만 입력되는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입력기 자체는 정상 작동하지만 현재 사용 중인 응용 프로그램(예: 게임, 특정 웹사이트의 입력창, 오래된 프로그램)이 윈도우의 표준 입력기 제어를 잠시 방해하여 한/영 전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럴 때는 다른 프로그램의 입력창에 한/영 전환을 시도해보고, 만약 다른 곳에서는 한글이 정상 입력된다면 해당 프로그램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두 번째는 입력기 설정 자체에 문제가 생겨 한글 입력기가 삭제되었거나, 전환 단축키가 변경되어 우리가 아는 방식으로 한/영 전환이 안 되는 경우입니다. 대부분의 문제는 첫 번째나 아래에서 설명할 간단한 단축키 실수에서 비롯되니, 걱정하지 마세요.


가장 빠르고 쉬운 해결책: Alt + Shift 또는 Shift + Space

한글 입력이 안 될 때 가장 먼저 시도해야 할 '마법의 단축키'입니다. 이 조합키들은 윈도우 환경에서 입력 언어 자체를 전환하는 기능을 합니다.

3.1. Alt + Shift 조합키 사용하기

Alt 키와 Shift 키를 동시에 누르는 것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설치된 입력 언어 목록을 순차적으로 전환하는 기본 단축키입니다. 예를 들어, 한글과 영어가 설치되어 있다면 이 단축키를 누를 때마다 '한국어(Microsoft IME)'에서 '영어(미국)'로, 다시 한글로 전환됩니다. 한글이 안 나올 때 이 단축키를 한두 번 눌러보세요. 대부분의 경우 이 방법만으로 한글 입력이 복구됩니다. 한/영 키가 먹통일 때도 이 방법은 유용합니다.

3.2. Shift + Space 조합키 사용하기

일부 환경, 특히 구버전 윈도우 또는 특정 소프트웨어 환경에서는 Shift 키와 Space Bar(띄어쓰기)를 동시에 눌러 한/영 전환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Alt + Shift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이 조합키를 시도해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 윈도우 환경에서는 Alt + Shift가 더 일반적입니다.


확실하게 해결하는 근본적인 방법: 입력기 설정 확인 및 변경

단축키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윈도우 설정에서 한글 입력기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 방법은 입력기 자체가 손상되었거나 실수로 삭제된 경우에 필요합니다.

4.1. 윈도우 10/11의 언어 설정 접근 방법

  1. 시작 버튼(Windows 로고)을 클릭하거나 Windows 키 + I를 눌러 '설정'을 엽니다.
  2. '시간 및 언어' 항목을 선택합니다.
  3. 왼쪽 메뉴에서 '언어 및 지역' (또는 '언어')을 선택합니다. 윈도우 10의 경우 '기본 설정 언어' 목록을 확인합니다.

4.2. 입력기(IME) 추가 및 제거

'기본 설정 언어' 목록에서 '한국어'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 '한국어'가 없는 경우: '+ 언어 추가' 버튼을 눌러 목록에서 '한국어'를 찾아 설치합니다. 설치 시 '언어 팩', '필기', '음성', '키보드(입력기)' 항목이 모두 선택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한국어'가 있는 경우: '한국어' 항목을 클릭하고 '옵션'을 선택합니다. '키보드' 섹션에 'Microsoft 입력기'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다른 입력기만 있거나, 입력기 자체가 없다면 '+ 키보드 추가'를 눌러 'Microsoft 입력기'를 추가합니다. 기존 입력기가 손상된 것 같다면 'Microsoft 입력기'를 제거했다가 다시 추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3. 기본 입력 언어 확인 및 변경

언어 설정 화면 하단에 있는 '관련 설정' 또는 '맞춤법, 입력 및 키보드 설정' 등의 항목을 찾아 '고급 키보드 설정'으로 진입합니다. 여기서 '기본 입력 방법 재정의' 설정을 확인합니다. 이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면 부팅 시마다 원하는 입력기가 선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Windows 표시 언어 사용' 또는 '한국어(Microsoft 입력기)' 등으로 정확하게 지정해 줍니다.


맥(Mac) 사용자라면? 키보드 입력 소스 확인

맥OS 환경에서도 영어만 나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맥에서는 이를 '입력 소스(Input Sources)'라고 부릅니다.

5.1. 시스템 설정에서 키보드 설정 찾기

  1. 화면 왼쪽 상단의 Apple 메뉴를 클릭하고 '시스템 설정' (또는 '시스템 환경설정')을 엽니다.
  2. 왼쪽 목록에서 '키보드'를 선택합니다.

5.2. 입력 소스(Input Sources) 변경 및 추가

키보드 설정 화면에서 '입력 소스' 항목을 찾습니다. 현재 등록된 입력 소스 목록에 '한글' 또는 'Korean'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없는 경우: 목록 하단의 '+' 버튼을 눌러 '한국어'를 검색하여 추가합니다.
  • 있는 경우: 맥의 기본 한/영 전환 단축키는 'Command + Space' 또는 'Caps Lock 키'입니다. 현재 어떤 키로 전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키를 눌러 입력 소스를 전환합니다. 만약 이 키들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키보드 단축키' 설정에서 입력 소스 전환 단축키가 다른 기능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고 기본값으로 복원합니다.

마무리: 입력 오류 예방을 위한 작은 습관

키보드가 영어만 나오는 문제를 해결하셨다면, 앞으로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작은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작업 표시줄 우측 하단에 있는 '입력기 아이콘(A 또는 가)'을 습관적으로 확인하는 것입니다. 만약 이 아이콘이 사라졌거나 'EN'으로만 고정되어 있다면, 위에서 설명한 Alt + Shift 단축키를 눌러 '가' 상태로 전환하거나, 윈도우 설정을 통해 입력기를 복구하는 작업을 미리미리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의 키보드 오류는 복잡한 문제가 아니며, 이 가이드대로 따라 하면 1분 안에 문제를 해결하고 다시 편안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공백 제외 2000자 이상으로 작성되었습니다.)